-
redhat enterprise 9.0 인터넷 연결하기OS/linux 2009. 8. 25. 10:20
RedHat Linux Network 설정하기
1. Default Gateway 설정 파일
파일 이름: /etc/sysconfig/network
- NETWORKING=yes
: 통신이 되도록 지원할 것인가의 여부(yes or no)
- HOSTNAME=bluestorm.co.kr: 서버의 호스트네임(Hostname)을 설정
- GATEWAYDEV=eth0: Default Gateway의 장치명
- GATEWAY=192.168.0.1: 시스템 전체에 대한 Gateway 설정(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 파일에서 Gateway를 설정한다면 이 파일에서 설정한 Gateway가 /etc/sysconfig/network 설정보다 우선 적용)
- FORWARD_IPV4=no: 시스템이 라우터 역할을 할 것인지 여부, 패킷 포워딩을 수행할 경우는 yes 그렇지 않을 경우는 no로 설정
2. Network Interface Card(NIC) 설정 파일 -> 윈도우의 인터넷 프로토콜(TCP/IP) 등록정보와 같음파일 이름: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x
: ifcfg-eth의 x는 0부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NIC 숫자 만큼 늘어남
- DEVICE=eth0: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장치명, Linux는 ethx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장치명이 정해져 있음
- BOOTPROTO=static: NIC에 IP Address를 Dynamic으로 설정할 것인지 아니면 Static으로 설정할 것인지 정함(dhcp=유동 IP 설정으로 DHCP Server를 통하여 IP Address를 받아옴, static=고정 IP 설정으로 관리자가 IP를 직접 입력)
-> 윈도우의 '자동으로 IP 주소 받기', '다음 IP 주소 사용'
- IPADDR=192.168.0.2
: eth0에 IP Address를 설정
-> 윈도우의 'IP 주소'
- BROADCAST=192.168.0.255
: Broadcast Address를 설정
- NETMASK=255.255.255.0: Netmask 값을 설정
-> 윈도우의 '서브넷 마스크'
- NETWORK=192.168.0.0: 해당 네트워크의 Network ID 설정
- ONBOOT=yes: 해당 NIC를 시스템이 부팅할 때 활성화할지 여부(yes or no)
- USERCTL=no: 해당 NIC를 root를 제외한 사용자가 On/Off 가능하게 할지 여부(yes=일반 사용자 가능, no=root 사용자만 가능)
- GATEWAY=192.168.0.1: 해당 NIC의 Default Gateway를 설정, /etc/sysconfig/network 파일에서 설정한 Gateway 보다 우선 적용
-> 윈도우의 '기본 게이트웨이'
3. DNS 설정 파일 -> 윈도우의 인터넷 프로토콜(TCP/IP) 등록정보와 같음파일 이름: /etc/resolv.conf
- search chosun.ac.kr
: Hostname만 지정했을 경우 뒤에 자동으로 chosun.ac.kr를 붙임
예제)
#telnet bluestorm 이라고 할 경우 bluestorm.chosun.ac.kr로 변경
- nameserver 168.126.63.1: 네임서버의 IP Address를 지정, 네임서버의 지정 개수는 제한이 없고 응답이 없을 경우 다음에 지정한 네임서버를 사용
-> 윈도우의 '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
※중요: 변경된 정보를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재부팅하거나 아래와 같은 명령을 사용한다.
: # /etc/rc.d/init.d/network restart
: # service network status | start | stop | restart
*****
redhat9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설정이 별별짓을 해도 안잡히는 경우가 있다.그럴 경우에는 아래 내용을 한번 따라해보도록 하자 ㅡ,.ㅡ;;
vim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.
ifcfg-eth0 파일 내부에 eth0 관련 설정이있다.
설정 아래 부분에 아래의 코드를 작성한 후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 하면 된다.
add to configuration file:
check_link_down() {
return 1;
}---------------------
# ifconfig eth0 192.168.123.123 up 을 실행해서 그 결과가 어떤지 확인 해 보셔야 될것같습니다.
# ifconfig 로 다시 확인 했을때 eth0 가 보인다면 드라이버단에서는 이미 확인 된것으로 보여지구요.
그렇지 않다면 드라이버 설치를 해야 되는상황인데 이 경우는 처음에 말씀 드렸듯이
리얼텍렌카드(젤 싸니까)를 하나 사서 다는게 좋을것으로 보여 집니다.
첨부터 드라이버 업데이트 해서 사용 할려면 나중에 유지보수도 만만치 않습니다.
# ifconfig 로 eth0이 확인 된다면
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제가 아는 방법은 /etc 에 있는 설정파일을 수정 하는겁니다.
GUI를 이용 하는 방법은 제가 안해봐서 모르겠구요.
지금은 정확하지 않은데
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
인것으로 기억 되는데 여기 보면 ifcfg-eth0 라는(비슷한)파일이 있습니다.
이것의 내용을 수정 하셔야 되는데
들어갈 내용을 다음과 같습니다.
DEVICE=eth0
IPADDR=192.168.0.2
NETMASK=255.255.255.0
NETWORK=192.168.0.0
BROADCAST=255.255.255.255
GATEWAY=192.168.0.1
ONBOOT=yes숫자들은 먼지 아실꺼라 판단해서 추가 설명은 생략 하겠습니다.
# ifup eth0
또는
# /etc/init.d/network restart
로 네트웍설정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